2022년 8월 31일 수요일

고르비를 기리며... (1931~2022)

소련의 마지막 서기장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세상을 떠난 오늘, 그가 지난날 출연했던 광고 한 편과 우연히 발견한 흥미진진한 칼럼 한 편을 함께 방공호에 저장합니다.





칼 마르크스, 사탄과 똑같은 말 한 적 있다?


“나는 저 위에서 통치하고 있는 유일한 그에게 복수할 것이다.”
Ich möchte mich an dem Einen rächen, der dort oben herrschet.


무신론과 마르크스주의(공산주의) 사상은 오늘날 세계 인구 중 5억을 포용하고 있는 WCC 세계 교회연합운동과 WCC 안으로 침투한 혁명신학, 가톨릭 지역으로 확산된 해방신학들 바탕 모두에 깔려 있다.

마르크스주의자들(공산주의자들)의 목표가 전 세계로 점차 확산될 수 있었던 가장 큰 원인은 1960년대부터 독일 프랑크푸르트 학파가 시작한 신마르크스주의의 교육에 있다.

신마르크스주의 태동의 원인은 본래 칼 마르크스(Karl Marx)가 생각했던 바처럼, 극빈자 계급이 연합한 세계 프롤레타리아가 혁명을 일으켜 새 사회를 만들 수 있다는 마르크스주의적 확신이 무너졌기 때문이다. 환경이 개선된 노동자들이 혁명을 시도하지 않았기에, 새 사회를 이룰 유혈혁명이 발생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 실패 원인을 연구한 마르크스주의 후예 신마르크스주의자들은 그들의 스승 마르크스의 방법을 수정, 단번에 혁명이 일어나기를 기대하는 것이 아니라 장시간에 걸친 철저한 교육을 통해 혁명을 성취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들은 꾸준히 인내하고 기다리면서 대를 이어 어린 층과 젊은 층에게 마르크스주의 신교육을 주입했던 것이다.

그 효과는 확실하게 나타났다. 본래 기독교 터전이었던 유럽과, 가톨릭 터전이었던 남미에서 각각 마르크스주의 방법론을 수용한 신학자들이 해방신학과 혁명신학을 주창하고 마르크스주의적 혼합신학을 만들었다.

...

원문 링크: 크리스천투데이



헤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