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새 ] 태그의 글을 표시합니다.
레이블이 요새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9년 5월 6일 월요일

로버트

부스의 문을 열고 들어와 불을 켜고 앉았다. 아직 해가 다 뜨지 않아 충분히 밝아질 때까지 조명을 켜두어야 했다. 이 일을 막 시작했을 때 이 시간에 불을 켜지 않고 앉아 있다가 일찍 출근하는 연구원들을 놀라게 하는 일이 종종 있었기에, 대답하기 귀찮은 질문을 받는 것보다 잠깐의 거부감을 감수하는 편이 낫다고 생각해 불을 항상 켜두기로 했다. 어쨌든 다른 사람들에게 내가 경비원으로서 연구원의 안위에 집중하고 있다는 사실 외에 다른 정보를 줄 필요는 없었다. 자리에 앉자마자 난로를 켰다. 난로는 내가 오기 전부터 있던 것으로 잠깐만 켜놔도 금방 뜨거워져 오래 켜 둘 수 없었다. 나였다면 좀 더 유연한 설정을 가진 난로를 샀겠지만 상관없다. 나는 여기에 여덟 시간 머무를 것이고 난로는 이따 끄면 된다.
매일 오랜 시간을 작은 부스 안에서 보내다 보면 작은 변화에도 민감해지게 된다. 내가 아는 어떤 사람은 매일 마을을 한 바퀴 돌아오는 산책을 할 때마다 굴뚝들을 살폈다. 어떤 집의 굴뚝이 고장 난 걸 가장 먼저 알아차린 것도 그였다. 나는 그와 항상 산책을 함께 했지만 알지 못했던 사실이었다. 그는 사람들의 대화에는 대체로 무심했지만 누가 어딜 어떻게 지나갔는지는 자세히 알고 있었다. 부스에 앉아 있으면 그가 자주 생각난다. 사람들은 보통 일정한 시간에 출근하고 퇴근한다. 지각하는 사람이 정문을 통과하는 시간도 거의 일정하다. 테이블 위 전자시계가 12시로 바뀌기 8초 전에 점심 종이 울린다. 의자 뒤에 있는 작은 냉장고의 엔진이 웅웅거리기 시작할 때는 속으로 3분 정도의 짧은 노래를 다 부르면 웅웅거림이 멈춘다. 이런 것들이 부스 안에서 알게 된 사실들이다. 그때 그 마을에 내가 잠시 머무는 이방인이 아니라 정착민으로 남았다면 그처럼 굴뚝이든 뭐든 발견할 수 있지 않았을까? 눈이 오면 걷기 힘들고 미끄러지기 때문에 싫다는 그의 말이 무엇보다 확실한 기호처럼 느껴졌다. 나는 그가 좋아하는 것들을 그의 입을 통해 들었다. 그는 나와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했다. 나도 그와 있는 것을 즐겼지만 그가 좋았던 것인지, 그 이야기들이 좋았던 것인지, 나와 이야기하는 것을 좋아하는 그와 앉아있는 걸 좋아했던 것인지, 그의 입을 통하지 않고서는 알 수 없었던 이야기들을 좋아했던 것인지 확실하게 말할 수 없었다.
한번 일상적인 흐름에 익숙해지고 나면 일상적이지 않은 사건에 민감해진다. 연구원의 시설을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사람들이나 연구원 내부에서 약속이 있는 사람들의 방문이 종종 있지만, 이것도 익숙해지면 그만이다. 정문 밖의 사람들을 관찰하는 건 조금 더 재미가 있는데, 어제는 점심 때쯤 어떤 사람이 정문을 향해 걸어오다 나랑 눈이 마주치더니 갑자기 눈을 크게 뜨고 뒤를 돌아 왔던 길을 되돌아갔다. 내가 이상한 표정을 짓고 있었나 싶어 거울을 봤지만 특별한 건 없었다. 연구원을 방문하는 사람들은 보통 작업복이나 정장차림에 커다란 가방을 들고 있어 미리 알아채곤 하는데 그 사람은 그것도 아니었다. 무엇이 그 사람을 놀라게 만들었을까? 연구원에 용무가 있다면 돌아올 것이라 생각해 기다려 보고 싶었지만 오후에 다른 경비원과 자리를 교체하는 바람에 그 사람이 되돌아왔는지 오지 않았는지 알 수 없었다. 만약 어제 내가 돌아가는 집이 내가 이방인이었던 그 마을이었다면 그에게 들러 이 이야기를 해주었을 것이다. 그는 어떤 표정을 지을까? 내 말을 듣기는 할까? 어쩌면 엉뚱한 곳에서 내 말을 끊고 굴뚝 얘기를 시작할지도 모른다. 그러면 나는 끊기지 않을 이야기를 가지고 다시 오겠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렇다면 몇 주 전 새벽의 일은 어떤가?
그날은 밤 근무였다. 보통 밤 근무일 때는 순찰을 돌고 나서 숙직실에서 잠을 자는데 그날 같이 숙직실을 쓰는 동료가 코를 심하게 골아 잠에 들지 못하고 있었다. 한참을 뒤척이다 잠이 달아나는 걸 느꼈고 도서관 반납기한이 내일까지인 책이 부스에 있다는 걸 떠올렸다. 웃옷을 입고 나가자 새벽공기가 차가웠다. 부스의 문을 열고 들어가 불을 켜지 않고 서랍에 있는 북라이트를 꺼낸 후 난로를 켰다. 책갈피 대신 사용하는 영수증이 끼워진 페이지를 찾아 책을 펼쳤을 때였다. 고요한 시야에 무언가 움직이는 것이 느껴져 고개를 들었다. 연구원 건물과 직각으로 맞닿아 있는 기숙사 입구에서 누군가 나오고 있었다. 그는 손전등도 들고 있지 않았다. 그가 향하는 곳은 연구원 맞은편에 있는 작은 철문이었다. 문이라고는 하지만 높지 않아 한 걸음에 충분히 넘어갈 수 있었다. 그는 문을 넘었다. 문을 넘어가면 숲으로 향하는 오솔길이 있었다. 그는 오솔길을 걸어 숲으로 들어갔다. 그의 뒷모습을 눈으로 쫓았지만 이내 거리가 멀어져 보이지 않게 되었다. 잠시 고민을 했다. 그의 뒤를 쫓아가 볼 것인가? 숲은 크지 않았고 평소에 산책로로 이용되는 곳이었다. 밤이 되어 작은 짐승이 나올 수 있지만 크게 위험한 동물이 있다고 들은 적은 없었고 불안한 마음이 약간 가라앉았다. 나처럼 잠이 오지 않아 밤 산책을 나왔을 수도 있다. 그렇게 생각하고 다시 한 번 숲을 바라보자 먼 숲의 경계가 검은 하늘과 맞닿아 흐려져 있었고, 그가 숲의 입구로 되돌아오는 길을 걷고 있을지 아니면 다른 길을 택해 이쪽과 멀어지고 있을지 알 수 없었다. 한밤중에 기숙사에서 나와 숲으로 들어간 사람? 나는 그의 손에 무언가 들려 있었는지 떠올려 보았지만, 있었다 해도 거리가 멀어 보이지 않았을 것이다. 들고 있던 책은 내려놓은 지 오래였다. 동료를 깨워 의논해 볼까? 하지만 만약 단순한 산책이라면 괜한 소동을 피우게 될 것이다. 그렇더라도 확인해 보는 편이 좋지 않을까? 안절부절못하며 그가 얼른 다시 나오길 바랐다. 시계를 확인해 보니 그가 숲에 들어가고 한 시간 정도가 흘러 있었다. 더는 기다릴 수 없어 옷을 껴입고 손전등을 찾아 쥐었다. 그때, 한껏 민감해진 시야 안에 그가 등장했다. 그가 숲에서 나오고 있었다. 움직이는 속도는 들어갈 때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손전등을 손에 쥐고 일어나던 나는 엉거주춤한 자세로 굳어 버렸다. 그리고 그대로 그가 건물 안으로 다시 들어갈 때까지 엉덩이를 붙이지 못하고 서 있었다.
이 이야기를 굴뚝 얘기에 대한 보답으로 해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에게 이야기를 전해주는 장면을 쭉 상상해보니, 굴뚝이 고장 난 것보다 인상 깊은 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한 사람이 밤 산책을 나왔고 나는 그의 의도를 알지 못해 불안했다. 그뿐이다. 그날 이후로도 몇 번 그가 밤의 건물을 나와 숲으로 가는 것을 보았지만 그의 산책을 처음 발견한 날처럼 신경을 곤두세우는 일은 없었다. 다만 그가 숲에 머무르는 시간이 점점 늘어나 예상시간이 지나도 나오지 않으면 자주 고개를 들어 숲의 입구를 살펴보게 되었을 뿐이다. 그때 그 산책은 내가 발견한 첫 산책일 뿐 그의 첫 산책은 아니었을 수도 있다. 그는 일부러 모두가 잠든 시간을 택해 나왔을까? 나오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시간을 겪고 있었을까? 숲을 한 바퀴 도는 데에는 사십 분 정도의 시간이 걸린다. 잠시 어디 앉아 시간을 보내고 돌아오는 게 아닌가 싶었다. 하지만 알 수 없었다. 알 수 없는 것을 이야기하는 것은 언뜻 생각하기에 재미가 있을 것 같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그의 굴뚝 이야기보다는 시시했다. 굴뚝이 고장 났던 것은 완벽한 사실이었다. 그는 그것을 그의 눈으로 보았다. 우리는 그의 발견 후에야 굴뚝의 고장을 알게 되었다. 이 이야기의 완벽함을 나는 아무래도 따라갈 수가 없었다.
어제 나를 보고 놀란 표정을 지었던 그 사람도 어쩌면 이미 여러 번 이곳을 지났던 사람일지도 모른다. 그와 내가 눈이 마주치지 않았다면 나는 그를 영원히 몰랐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알 수 없었다. 직접 보거나 겪지 않은 일들로 내가 어떤 자신을 가질 수 있나.
퇴근 시간이 다가오고 있었고 그 사실을 시계의 숫자로 확인했다. 남은 시간에 맞춰 남은 업무의 우선순위를 확인하고 시간 내에 끝내지 못할 일을 내일로 넘기기로 했다. 시간이 되자 동료와 교대하고 퇴근을 했다.



Remembering Nov. 2014 ~ Dec 2015

헤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