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문인인 성대중이 쓴 청성잡기에는 입맛이 까다로웠던 권력자들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당대의 한 세도가가 음식으로 사치하다 망한 이야기가 인상적이다.
近聞一勢家作湯餅,如孩兒五官四支無不具焉,匪久敗滅云。근래에 한 세도가에서 떡국을 만들면서 사람의 오관과 사지를 모두 구비한 어린아이 모양으로 만들어 먹었는데, 얼마 되지 않아 멸망하였다 한다. (청성잡기 제3권)
오관은 사람의 다섯 가지 감각기관, 눈, 코, 입, 귀, 피부를 말한다. 그 집 떡이 얼마나 정교한 어린애 모양이었을까를 상상할 수 있겠다.
기록된 인간 모양 조소 작품들은 대부분 강한 종교적, 제의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인간 모양으로 빚은 떡은 밥상보다는 무덤에 더 어울렸을 것이다. 진시황릉에 도열한 토우 병사들같이. 주인이 아플 때 환부를 부수기 위해서 공들여 만들었다는 조몬 차광기 토우같이.
그러고 보면 식품을 인형에 가까운 모습으로 만든 사례 자체가 이상하리만큼 드물다. 이유는 짐작할 만하다. <먹을 수 있는> 재료로 <인간> 모양을 만들자면 곡물을 빻고 뭉쳐 주무르고 가열하는 방법이 가장 쉬울 테고, 그러면 아무래도 만드는 과정에서도, 식감 상으로도, 정말로 인간을 먹는 듯한 불쾌한 기시감이 들 것이다.
다만 터부들이 늘 그러하듯 그것을 교묘하게 비튼 유사한 시도는 오히려 환영받는다. 흰 초콜릿을 입힌 반구 모양 과자에 분홍색 장식을 올린 요리가 유럽의 왕실들에서 크게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요리의 이름은 비너스의 젖꼭지(Téton de Vénus)다. 지역에 따라 과자 대신 고기 완자로 만드는 경우도 있었다고 한다.
한편 마리아의 아들은 떡을 떼고 포도주를 붓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것은 내 살과 피다.
이 일을 생각할 때마다 다음 순간에는 호빵맨을 떠올리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