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2월 25일 화요일

다큐멘터리

카메라맨은 그를 찍었다가 나를 찍고 그도 아니고 나도 아닌 사람을 찍었다가 담배를 피우러 간다. 지금 말하고 있는 것은 나, 사십육억 년이다. 동시에 나는 폼페이의 재로 덮인 사람들 중의 한 명이고 그들이 있는 이 섬이 바로 비극스러운 폼페이다. 나는 우리의 비극을 영상 콘티로 만드는 너를 보고 있다.

다시, 나는 예술학교에서 영상 수업을 듣는 학생 한 명을 바라본다. 그는 나이고, 안타깝게 죽어서 사십육억 년에 나의 삶 스무 해 정도를 이어 붙였다. 우리는 포개어졌다. 그였던 나의 바람은 제 장례식을 지켜보는 것이었고 누가 오는지 않는지를 헤아려보는 것이었다. 나, 그, 시간은 장례식을 지켜본다.

영상처럼.

눈물 흘리는 사람이 있기도 있다. 억장이 무너진 네 부모가 세수를 하고 돌아온다. 쟤가 내 상주 노릇을 한다니 놀랍다. 장례식에 있는 다른 인간들에게 말하고 싶다. 나는 지금 여기 있으며, 뇌의 시동이 꺼졌을 때. 손 아래로 흘린 조약돌처럼 사람의 시야가 툭 떨어질 때, 이렇게 된다고. 우리는 먼 미래로 날아와서 미래의 과거의 총합이 된다고 말하고 싶다. 그러니 두려울 것은 없다. 눈을 감고 아득해져서, 우주에 누적된 슬픔의 고저를 헤아릴 필요도 없다.

폼페이, 재와 먼지가 몽둥이처럼 몸을 두들기는 광경, 먼저 죽은 아이들과 공중목욕탕, 석고가 되어버린 나를 찍는 다큐멘터리가 만들어지고 있으니, 우리라고 다큐멘터리의 소재가 되지 않을 것은 없다. 느리겠지만. 시간이 많이 흐른 다음 인간이 죽어서 어떻게 되는지 알아낸다면. 저들은 우리를 찍어 영상으로 만들 것이다. 그것은 폼페이 다큐처럼 지구과학에 속할 것이다. 이제 저 카메라맨은 영상 교수에게서 이런 말을 듣는다. 화산이 깨어날지도 모르니까 촬영이 끝나면 서두르라고. 우스갯소리이지만 그 말대로 죽기 전까진 언제나 무서운 것이 있다.

헤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