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10월 20일 화요일

꽃순이와 개똥이

소싯적에 글 안 써본 사람이 있겠는가. 한선생도 그랬다. 다 지난 일이다. 그는 연애할 때 시를 썼다. 전공을 활용해서 수학 행렬에 자음과 모음을 넣어 고백을 했다. 연인이 기발하다고 시를 쓰는 줄 몰랐다고 하면 그는 조금 으쓱했다. 그것 역시 지난 사람들의 일이었다. 그는 결국 소싯적에 끄적였다가 사라진 선생 중 하나였을 뿐이다.

전쟁 통에도 자기의 잇속만 챙긴 탐관오리를 비판하는 시를 써보시오, 라는 문제가 나왔을 때 한선생은 턱을 괸 손을 이리저리 돌리며 고심했다. 그는 탐관오리라는 단어를 설명해주고, 그 당시 백성의 심정으로 쓰면 된다고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주었다. 그런데 애들의 반응이 예사롭지 않았다. 아무것이나 쓰고 보는 친구들인데 그날은 유독 머뭇거렸다.  

“선생님, 저 시는 정말 못 쓰겠어요.”

차라리 분석하면 안 돼요? 아니면 제가 쓰고 나갈 테니 선생님은 제가 강의실에서 나가면 읽고 제가 들어왔을 때는 시에 대한 한 문장도 이야기하면 안 돼요. 아이들은 으악, 악, 비명을 질렀다. 보통 저학년 친구들은 동시도 곧잘 쓰는 걸로 알고 있는데 이렇게까지 부끄러워할 일인가. 도무지 알 수 없었다. 뭐가 부끄럽지. 이들의 괴발개발로 쓴 글은 한두 번 보는 일이 아닌데 새삼스러웠다.

아이들은 양반을 욕하는 시를 <쇼미더머니>처럼 생각했다. 욕 써도 돼요? 안 돼. 그럼 강아지의 아이야, 이런 말은 돼요? 안 돼. 그 당시에도 욕이 있었어요? 저잣거리에 매달릴, 이런 말들은 있었지. 짧게 써도 돼요? 응. 한 줄 써도 돼요? 아니.

몇몇 애들은 이런 표현도 썼다.

“백성들한테 꿀 빠는 양반들아.”

한선생은 그저 마실 나오듯이 그들이 쓰는 걸 구경했다. 몇몇 친구들이 자신이 쓴 걸 확인받았다. 한선생은 와, 잘했네, 괜찮네, 라는 말을 해주면서 그들을 다독였다. 그중에서도 인상 깊었던 글은 있었다. 그 시는 <꽃순이와 개똥이>였다.


아버지는 개똥이를 버렸다
사람 먹을 게 없으니 개부터 버려야 한다고
개똥이가 서럽게 울었다

옆집 꽃순이가 죽고
마당에 묻혔다 

꽃순이 아빠는 전쟁터에 나갔다
꽃순이 아빠는 마당이 없어서 울퉁불퉁한 땅에 묻혔다
묻을 땅이 부족했다

아버지는 기다리자 했다


<꽃순이와 개똥이 부분>


열한 살짜리 아이가 이런 글을 쓰고 있었고, 한선생은 감동을 느꼈다. 감동적이네, 라고 말하자 옆 친구들이 요동치기 시작했다. 나는 못 쓰겠어요, 봐봐, 글씨도 예쁘잖아, 그들은 내가 뭘 읽었는지도 모르면서 말한다. 

한선생은 최근에 본 영화가 불현듯 떠올랐다. 그는 <타오르는 여인의 초상>을 보고 친구와 대화를 나눴었다. 친구는 “이거 정말 찐사랑이구나, 싶더라.” 말했고 그는 “나는 다시 묻게 되더라. 이게 사랑이 아니라면 뭐라고 부를 건데?” 

그때의 장면이 지나가는 건 왜 그런지 알 수 없었다. 문득 그는 생각했다. 이 아이가 쓴 게 시가 아니라면 이걸 뭐라고 부를 수 있을까?

꽃순이를 쓴 어린 친구는 한선생의 시선을 느꼈는지 “선생님, 저 시가 아닌 것 같아요, 이래도 돼요?*” 물었다.










헤매기